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는 놈위에 노는 놈

이슬비 내리는 오후 14시에 대전 KBS 공개홀에서

"정서공유"강의로 개인적으로 평소 호감가는 교수님이 특강이 있다해서, 연구를 잠시 접고 나들이?를 했다.

(김정운교수 : 명지대 사회교육대학원, 여가경영학과)

특강의 핵심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사회의 문제는 "개미 콤플렉스"에 빠져 있다.

    * 개미처럼 성실하고 일만하다 디스크에 걸리는 것 보다, 창조적이고 남을 재미있게하는 베짱이형으로 되야한단다

2. 지금 행복해야 나중에도 행복해 질 수 있다.

    * 나중의 행복을 위해 지금 고통을 참자? 가 아닌, 지금도 행복해야 한다는 오래전 진리...

3. "창의성"이 있어야 한다.

    * 창의성이란? 새로운 것을 생각해 내는 특성(이시대 최고의 박사 네이버 정의) 이라기 보다는

       representation(다시 보여주다), 낯 설계하기(독일어 의미) 이다.

       <예를 들어 "창의성"의 성공사례>

      1) 훌라후프 사장 : 판매부진으로 고민중, 소규모 비닐하우스를 보고, 훌라후프를 절반으로 절단하여 판매 대성공(과거

                                 대나무살을 대치함)

      2) 빗자루를 보고, 어른 들은 무엇을 생각할까? 아이들은 무엇을 생각할까?(날아가는 생각을 함) = 이런 응용이 "해리포터"

          * 해리포터를 통해 우리나라 현대자동차 1년 수익의 3~4배가 큰 수익을 창출함

4. 21c 리더십은?

   1) "돈"으로 사람을 못 움직인다

   2) "권력"으로 사람을 못 움직인다

   *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려면 "정서공유"이다

   * 사람들은 죽기전에 "3껄"(베풀고 살껄, 용서하고 살껄, 재미있게 살껄)을 한단다.

      그러므로 베풀고 용서하고 재미있게 삽시다

   * 행복은 기분좋은 시간의 길이와 비례하는 것처럼

5. "감탄"을 해줘야 성장한다.

    - 사람들은 오히려 동물보다 '미숙아'로 탄생한다. 차라리 18개월만에 동물처럼 나오면 혼자 어미따라 젖먹고 할 텐데.

       갓난 아기는 9개월만에 미숙아로 탄생하여, 엄마가 챙겨줘야 한다.

        * 갓난아기는 엄마의 "감탄사"(우리 애기 "너무 잘했어요", 엄마 또는 걸음나의 경우 "아~이, 참 잘했쪄~~~ 등)

        * 따라서 산에가서 "와!" 감탄 하듯이 사람(아내, 남편, 자녀, 친구, 동료, 선후배 등)에게 감탄을 해야한다.

          그러고 보니 "칭찬"의 형님이 "감탄" 같네요~~~~~~~

        * 감탄은 고사하고 "한탄"만 해서는 안되겠지용~~~

      - 행복해서 웃는게 아니고, 웃어서 행복하듯이

         슬퍼서 우는것이 아니고, 울면 슬퍼진다.

[결론]  따라서 "재미"와 "감탄"이 선순환을 이루면 웃게되고, 웃게되면 행복해 진다.!!!!!!!!!!!!!

            다같이 "우와!!!", "이야!!!"라고 감탄을 해봅시다^^*

+++++++좋은 교육안내를 해주신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