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비 내리는 오후 14시에 대전 KBS 공개홀에서
"정서공유"강의로 개인적으로 평소 호감가는 교수님이 특강이 있다해서, 연구를 잠시 접고 나들이?를 했다.
(김정운교수 : 명지대 사회교육대학원, 여가경영학과)
특강의 핵심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사회의 문제는 "개미 콤플렉스"에 빠져 있다.
* 개미처럼 성실하고 일만하다 디스크에 걸리는 것 보다, 창조적이고 남을 재미있게하는 베짱이형으로 되야한단다
2. 지금 행복해야 나중에도 행복해 질 수 있다.
* 나중의 행복을 위해 지금 고통을 참자? 가 아닌, 지금도 행복해야 한다는 오래전 진리...
3. "창의성"이 있어야 한다.
* 창의성이란? 새로운 것을 생각해 내는 특성(이시대 최고의 박사 네이버 정의) 이라기 보다는
representation(다시 보여주다), 낯 설계하기(독일어 의미) 이다.
<예를 들어 "창의성"의 성공사례>
1) 훌라후프 사장 : 판매부진으로 고민중, 소규모 비닐하우스를 보고, 훌라후프를 절반으로 절단하여 판매 대성공(과거
대나무살을 대치함)
2) 빗자루를 보고, 어른 들은 무엇을 생각할까? 아이들은 무엇을 생각할까?(날아가는 생각을 함) = 이런 응용이 "해리포터"
* 해리포터를 통해 우리나라 현대자동차 1년 수익의 3~4배가 큰 수익을 창출함
4. 21c 리더십은?
1) "돈"으로 사람을 못 움직인다
2) "권력"으로 사람을 못 움직인다
*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려면 "정서공유"이다
* 사람들은 죽기전에 "3껄"(베풀고 살껄, 용서하고 살껄, 재미있게 살껄)을 한단다.
그러므로 베풀고 용서하고 재미있게 삽시다
* 행복은 기분좋은 시간의 길이와 비례하는 것처럼
5. "감탄"을 해줘야 성장한다.
- 사람들은 오히려 동물보다 '미숙아'로 탄생한다. 차라리 18개월만에 동물처럼 나오면 혼자 어미따라 젖먹고 할 텐데.
갓난 아기는 9개월만에 미숙아로 탄생하여, 엄마가 챙겨줘야 한다.
* 갓난아기는 엄마의 "감탄사"(우리 애기 "너무 잘했어요", 엄마 또는 걸음나의 경우 "아~이, 참 잘했쪄~~~ 등)
* 따라서 산에가서 "와!" 감탄 하듯이 사람(아내, 남편, 자녀, 친구, 동료, 선후배 등)에게 감탄을 해야한다.
그러고 보니 "칭찬"의 형님이 "감탄" 같네요~~~~~~~
* 감탄은 고사하고 "한탄"만 해서는 안되겠지용~~~
- 행복해서 웃는게 아니고, 웃어서 행복하듯이
슬퍼서 우는것이 아니고, 울면 슬퍼진다.
[결론] 따라서 "재미"와 "감탄"이 선순환을 이루면 웃게되고, 웃게되면 행복해 진다.!!!!!!!!!!!!!
다같이 "우와!!!", "이야!!!"라고 감탄을 해봅시다^^*
+++++++좋은 교육안내를 해주신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