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22)
[스크랩] 평면지구론 - 남극의 백야 현상의 이해 우리가 이 땅을 살면서 실체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남북위 각각 66.5도 이상의 지역에서 일어나는 백야(白夜)현상과 흑야(黑夜) 현상이 있다. 백야 현상은 위도 마다 차이가 있지만 최대 3개월까지 태양이 일몰하지 않으므로 낮만 존재하는 것이고, 흑야 현상은 최대 3개월까지 일출하지 ..
[스크랩] 조작된 남극 백야 영상들, 그리고 남극과 북극 극야에 대한 증언. 남극 백야 영상이라고 유투브에 올려져 있는 두 개의 영상이 있습니다. 하나는 미국 맥머도 기지에서 찍은 것이고, 하나는 뉴질랜드 스캇 기지에서 찍은 것입니다. 둘 다 Anthony Powell 이라는 사람이 찍은 것으로, 특히 첫번째 영상은 그의 다큐멘터리 'Antactica : A Year On Ice' 의 일부입니다. 그..
[스크랩] 평면지구는 이론이 아니라 지구가 평평하다라는 것이다. 음모론과 동일시하는데, 그렇지 않다. 우리 나름대로의 사설 천문학을 정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평면지구와 평면지구론과 플레이트어스의 차이점 1. 평면지구 1) 지구가 편편하다는 주제로 하는 연구의 시작이다. 2) 둥근지구설의 허구성을 부정하고 지구의 올바른 형상을 찾는 것을 목적..
지구가 평평하다는 증거 200가지(101-200) 101) Sigma Octantis is claimed to be a Southern central pole star similar to Polaris, around which the Southern hemisphere stars all rotate around the opposite direction. Unlike Polaris, however, Sigma Octantis can NOT be seen simultaneously from every point along the same latitude, it is NOT central but allegedly 1 degree off-center, it is NOT motionless, and in fact cannot b..
지구가 평평하다는 증거 200가지(51-100) 51) Antarctica is by far the coldest place on Earth with an average annual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57 degrees Fahrenheit, and a record low of -135.8!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at the North Pole, however, is a comparatively warm 4 degrees. Throughout the year, temperatures in the Antarctic vary less than half the amount at comparable Arctic latitudes. The Northern Ar..
지구가 평평하다는 증거 200가지(1-50) 에릭 두베이의 평평한 지구 200가지 증거 동영상 중 1번부터 50번 번역. 1) The horizon always appears perfectly flat 360 degrees around the observer regardless of altitude. All amateur balloon, rocket, plane and drone footage show a completely flat horizon over 20+ miles high. Only NASA and other government “space agencies” show curvature in their fake..
평면지구 밖에 또 다른 땅들이 존재?? 평면지구.. 그 밖에 더 넓은 육지들.. 그리고 4각의 울타리.. The Hawaiian gazette. (Honolulu [Oahu, Hawaii]) 1865-1918, January 11, 1907
세계 비밀 정부 자료(리처드 보일런 박사) 세계 비밀 정부 목차 1. 개요 2. 행정분과 3. 정보분과 4. 전쟁 부서 5. 군수산업 부서 6. 재정 부서 7. 끝맺는 말 1. 개요 다음의 글은 미국의 행동과학자, 리처드 보일런 박사(심리상담 및 치료, 철학, 사회학, 교육학 등의 박사)의 글이다. 그가 이글을 올린 때는 1996년으로 대단히 구체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