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48)
천부경 조화주造化主는 ‘한’에서 왔다가 ‘한’으로 돌아갑니다. 조화주를 설명한 경전이 조화경造化經인데, 천부경은 조화경으로 모두 81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민족의 3대경전 중 가장 으뜸가는 경전입니다. 한민족의 옛 역사를 밝혀놓은 많은 사서史書에는, ‘천부경’과 .‘삼일신고’가 당시의 중..
선도의 관점에서 바라본 차례(제사) 선도의 관점에서 바라본 차례(제사) 차례의 의미 해마다 설날과 추석이 되면 민족 대이동으로 온 나라가 떠들썩합니다. 이런 현상은 우리민족이 오래 전부터 얼마나 효를 중시하였는가, 다시 말해 살아 계신 부모님과 돌아가신 조상님들을 얼마나 지극히 여겼는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제..
얼굴 얼굴 “동그라미 그리려다 무심코 그린 얼굴~”이라는 아름다운 노래가 있습니다. 우리는 얼굴 표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합니다. 웃는 얼굴, 화난 얼굴, 놀란 얼굴... 나이가 들면 그 사람의 얼굴에 이제까지 살아온 삶의 흔적이 나타나는데, 얼굴에는 어떤 뜻이 있는 것일까요? 얼이 들어있는 굴..
설날과 윷놀이 설날과 윷놀이 설날은 조상숭배와 효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는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입니다. 또한 오늘날에는 도시사회에서 오는 긴장감에서 잠시나마 해방될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기도 합니다. 설날의 세시풍속으로는 차례, 세배, 설빔, 덕담, 복조리걸기, 설음식(세찬), 윷놀이 등 다양하지만, 이 ..
한민족의 숫자는 '3' 한민족의 숫자는 '3' 나라마다 좋아하는 ‘수’가 있고, 나쁘게 여기는 ‘수’가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7을 행운의 숫자로 보지만 13을 나쁘게 여기고, 한국의 경우는 죽을 사死와 음音이 같다고 해서 숫자 4를 나쁘게 여깁니다. 이처럼 숫자하나에도 참 다양한 의미가 들어있습니다. 많은 숫자중에서 ..
아리랑의 참된 의미 아리랑의 참된 의미 아리랑의 아(我)는 참 나를 의미합니다. 참 나가 있다면 가짜 나도 있습니다. 가짜 나는 여러 가지 감정과 욕망들인데,이것을 참 나로 아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래서 삶에는 욕망을 위해서 사는 삶과 자기의 본성을 위해서 사는 삶,이렇게 두 가지의 삶이 있습니다. 리(理)는 알 ..
아버지와 어머니 아버지와 어머니 아버지와 어머니 아버지는 ‘알받이’ 이고 어머니는 ‘얼 주머니’ 입니다. 우리말에서 ‘알’은 어떤 존재가 생기기에 앞서 이미 존재하는 최초의 씨앗이고 ‘얼’은 어떤 존재가 없어져도 남게되는 그 무엇으로 ‘넋’ 또는 ‘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주말에서도 ‘아’는 ..
[신화시대] 황궁씨 시대-유인씨 시대-한인씨 시대 [신화시대] 황궁씨 시대-유인씨 시대-한인씨 시대 황궁씨가 천산주에 도착하여, 복본을 위하여 혼신의 힘을 다할 것을 서약하고, 따르는 무리들에게 수증(修證)하여 청정한 몸과 마음을 다시 찾도록 노력하라고 당부하였다. 그리고 큰 아들 유인씨(有因씨)에게 명하여 무리들을 잘 돌보며 인세(人世..